며칠 전 김미경이란 여자 강사가 무릎팍 도사에 나온 것을 보았다. 대답한 입심이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보니 강연으로 엄청나게 돈을 번 사람인 모양이다. 이 분이 하는 강연은 이런 저런 제목으로 엄청난 양의 분량이 있지만, 내용은 거의 비슷해서 하나만 들으면 모든 것을 다 들은 셈이라는 평을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다.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결론이다. 사실 이런 분들은 가수가 노래를 부르듯이, 일종의 엔터테인먼트로 강연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니 거기서 이떤 대단한 교훈이나 가르침을 찾으려는 기대 자체가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다. 그냥 재미나게 들으면 된다. 뻔한 이야기이긴 하지만, 도움이 될만한 부분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런 사람은 매스컴에서 우려먹기 좋은 우리사회의 어떤 성공신화를 보여주고 있는 셈인데, 거기에 편승하여 마치 거기서 삶의 새로운 지혜를 얻거나 인생의 큰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과장하는 태도가 더 문제이다. 그것이 심해지면, 본인 스스로도 자신이 어떤 대단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하게되고, 지나친 자신감은 안하무인의 건방으로 바뀔 수도 있다.

 

아래의 기사가 그런 조짐을 보여주는 것 같아 안타깝다. 그런데 김미경의 답변은 소위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라는 전형적인 오류 논증에 기초하고 있다. 김미경이 비판하고 있는 그 어떤 사람은 '인문학 서적'과 '자기개발서'를 구분하는 사회적 관행이나 언어적 용법을 따르고 있다. 서점에 가도 '자기계발서'라는 범주는 별도의 서가에 따로 모아져 있고, 그것이 어떤 책들을 지시하는 가에 대한 대단히 단단한 사회적 관습이 존재한다. 물론  '자기계발'이란 일반적 개념이 꼭 그러한 책의 전유물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얼마든지 인문학 서적을 통해서도 자기계발을 할 수 있다. 아니 어쩌면 더욱 반성적이고 올바른 형태의 자기계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질문자의 의도도 그런 취지였을 것이다. 그런데 김미경은 자기계발이란 말의 일반적인 일반적 의미에 기대어, '자기계발서'의 범주를 재정의하고 거기에 인문학 서적도 포함시켜 버린다. 그렇다고 해서, 애초의 질문자가 말하는 구분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김미경은 전형적인 애매어의 오류를 보여주고 있다.

 

--------------------------------------------------------------------- 

[기사 내용]

'스타강사' 김미경이 지난 1월 tvN '김미경 쇼'에서 한 발언이 뒤늦게 논란이 되고 있다.

18일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는 지난 1월 18일 방송된 '김미경 쇼'의 2회 방송이 업데이트 됐다. 이날 방송에서 김미경은 "어떤 사람은 가끔씩 이런 이야기를 한다. 저는요 자기 개발서 같은 거 안 읽어요. 저는요 인문학 서적 읽어요"라고 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이에 김미경은 "어디 갔다 쓰려고? 인문학 서적은 왜 읽는데"라고 반문하자, 그 학생은 "잘 살고 싶어서요"라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미경은 "인문학 서적 실컷 읽어서 인문학 서적이 내 머리로 들어오고 내 머리로 들어와서 내 몸과 그 지식이 치열하게 소통하면 한 방울의 지혜로 남아. 인문학은 지혜 만들기 위해서 읽는 거라고"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 사람의 지혜가 300페이지의 책으로 써지면 그가 자기개발을 해 온 것이고 그게 자기개발서적이야. 근데 안 읽는다고? 웃기고 있어. 시건방 떨고..."라며 청중 앞에 과감한 말을 던졌다.

Posted by deanima
,

최근에 출퇴근길 이동용으로 젠하이져의 모멘텀 헤드폰을 구입했습니다. 마침 후배가 소니의 MDR-1R을 빌려주어서 비교 청음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대상은 모멘텀, MDR-1R, 그리고 연구실에서 쓰는 그라도의 RS1을 사용했다. 소스는 코드의 투칸과  B&W의 MM-1에 달린 3.5 헤드폰 잭을 사용하였습니다.

 

 

 

플레이어는 윈도우8환경에서 푸바의 wasapi (event)모드로 했습니다. 평소에 좋아하는 시네마 첼로 몇 곳과 베스트 오디오파일 보이스 앨범의 노래 몇 곡을 들어 보았습니다.

 

물론 소리는 투칸에 물린 그라도가 등급이 다른 소리를 들려줍니다. 그런데 투칸에 물린 MDR-1R도 의외로 선전을 합니다. 소리가 상당히 시원하게 나온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저음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중고음 중심의 맑은 소리 성향 같습니다. 그런데 오디오파일에 있는 에미 후지타의 데스페라도를 듣는데, 소니의 경우 음의 포커싱이 잘 안맞고 소란스럽다는 느낌이 좀 심하게 오는군요. 물론 그라도에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지, 그 자체로 크게 나쁜 소리는 아닙니다.

 

모멘텀도 투칸에 물려 보았는데, 변환잭의 저항이 달라서인지 소리가 들어줄 수 없습니다. ㅠㅠ 소니는 변환잭을 물려도 소리의 큰 변화가 없었는데, 모멘텀은 막을 몇겹을 쳐놓은 것 같이 도저히 들어줄 수 없는 소리가 납니다.

 

변환잭을 사용하지 않고 MM-1에 있는 해드폰 잭에 두 헤드폰을 물려봅니다. 두 헤드폰의 성향이 극명하게 갈리는 소리가 나는군요. 소니는 투칸에 물렸을 때와 소리의 성향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mm-1 내장 dac와 투칸의 dac 정도의 차이가 나는 소리를 들려줍니다. 헤드폰보다는 mm-1 내장 dac와 헤드폰 단자에 더 실망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전히 시원하긴 하지만 약간은 평범한 소리를 들려줍니다.

 

모멘텀은 투칸에 물렸을 때보다 훨씬 좋은 소리가 납니다. 소니처럼 소리가 막 쏟아져 나오는 느낌은 없지만, 중저음의 무게가 다르고, 음악적인 재미가 더 있습니다. 하지만, mm-1에 물렸을 때에, 소니와 모멘텀의 차이는 등급의 차이는 아닌 것 같고, 선호의 차이 정도에 불과하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내친 김에 모멘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메리디안에서 새로 나온 usb dac인 meridian explorer을 주문했습니다. 어떤 소리가 날지 자못 궁금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아이폰에 직결하여 모멘텀과 MDR-1의 소리를 비교해 봅니다. 웅산의 노래를 몇 곡 들어보았습니다. 모멘텀은 역시 3.5 단자에 직결 혹은 아이폰 용이 맞습니다. 아이폰에 물렸을 때에는 모멘텀과 소니의 실력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납니다. 소니는 여전히 여러가지 많은 소리를 쏟아 내고 시원합니다. 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음악적으로 심심하고 단조로운 소리가 납니다. 이에 비해 모멘텀은 적절한 저음과 함께 음악의 강약이나 여러가지 뉘앙스가 훨씬 잘 표현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폰에서마저 모멘텀이 소니를 압도하지 못했다면, 정말 억울 할 번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소니는 가성비를 따지자면 베스트 초이스 중의 하나인 것 같습니다. 특히 가요을 중심으로 음악을 즐기는 분이라면 결코 후회하지 않을 선택인 것 같습니다. 최근 20만원대에서도 구할 수 있는 것 같은데, 그 정도 수준에서 헤드폰을 구입하려 한다면, 최상의 선택인 것 같습니다.

 

가격 대비 성능으로 보자면,  모멘텀은 분명히 의문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가격대에서 지하철 등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음악을 듣고, 째즈나 클래식 중심으로 음악을 즐기는 분이라면, 다른 대안이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즉, 모멘텀은 가격을 생각하면 약간 아쉬운 점은 있지만, 그 정도 사이즈와 외모, 성능을 적당하게 구비한 다른 대안이 없다는 것입니다. 비슷한 가격대에서 소리만 생각하자면 최근에 나오는 베이어다이나믹스의 헤드폰들이 분명 더 나을 것 같은데, 바깥에 쓰고 다닐 수 있는 놈들은 결코 아니지요.^^

 

일단 메리디안이 도착하면, 노트북에서 다시 모멘텀의 값어치를 다시 한 번 평가하려 합니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ridian Explorer USB Dac 사용기 2부  (0) 2013.03.24
메리디안 익스플로어 사용기 1부  (0) 2013.03.22
젠하이져 모멘텀  (0) 2012.12.23
NX20  (0) 2012.09.23
코드 투칸  (0) 2012.04.22
Posted by deanima
,

1. 교과 목표

인류는 바야흐로 자신의 진화 방향을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하였다. 본 강좌는 과학기술을 통한 인간 혹은 인간 생명의 변형 및 향상과 관련한 윤리적·도덕적 쟁점들을 검토하고 성찰한다. 유전자 조작이나 생명연장 기술, 물질의 구조를 통제하는 분자 나노기술, 인간의 지능을 훨씬 능가하는 슈퍼지능, 우리의 신체나 정신을 대행하는 다양한 디지털 프로스테시스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들은 인간의 마음, 인간의 신체, 인간의 본성을 변형시키고 향상시키는 기술들이다. 이러한 기술들의 출현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구성하는 전통적 범주들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드는 동시에, 오늘날의 인간을 과거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윤리적 지평 위에 놓이게 한다. 약물이나 프로스테시스 기술의 사용을 통한 육체적·정신적 능력의 향상, 줄기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인공장기, 유전자의 조작이나 선택을 통한 맞춤 아기의 출산, 인체 냉동 보존술(cryonics)이나 전자적인 업로딩과 같은 영생의 시도와 같은 것들이 오늘날 우리가 윤리적 판단을 내려야 하는 맥락들이다. 현대 과학의 이러한 성과가 인간 본성이나 생명의 이해와 관련하여 어떠한 함축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이로부터 어떠한 윤리적 문제들이 파생하는지를 검토하고 거기에 대응하는 방안을 고민해 본다.

 

2. 교과 내용

21세기 인류의 문화를 규정짓는 핵심 아이콘은 과학 기술이다. 그런데 과거의 과학기술들이 일차적으로 인간을 둘러싼 외부 환경을 바꾸고 개선하는 기술들이었다면, 현재의 기술들은 인간의 외형이나 육체, 마음의 구조 그리고 수행가능한 일의 범위를 근본적으로 변형시키는 것들로서 인간의 본성을 바꾸고 향상시키려는 기술들이다. 인간 향상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소위 BNIC(Bio-, Nano-, Information-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 기술들은 곡선의 형태를 그리며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많은 미래학자들은 이제 인류가 스스로의 결정을 통해서 자신의 진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 대부분은 그러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직접 체험하기 힘들며, 그 결과 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가져올 변화의 의미나 잠재력에 대해서도 충분한 주의나 반성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이는 우리가 변화를 완만한 직선의 선형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인류 역사 대부분의 기간 동안에 사람들이 자신의 일생동안에 세계에 급진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경우란 거의 없었다. 최근 몇 십 년 동안 일어난 변화는 사실상 인류의 출현 이래 수만 년 동안 일어났던 변화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변화였다. 말하자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를 제외하곤, 사람들이 평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세상은 거의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시에 인류역사를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면, 기술의 변화나 혁신은 그것에 수반하는 문화나 가치의 변화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농경이나 문자의 출현은 물론이거니와 17세기 과학혁명이나 18세기의 산업 혁명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것을 반영한 삶의 형태나 가치규범에 적응하기까지에는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수세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문제는 향후 전개될 과학기술의 발전 양상이 지금까지의 변화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며, 우리 인간의 삶의 양식, 사고방식, 문화, 의미, 가치 등에도 훨씬 더 급진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첨단 기술의 도움을 빌어서 소위 포스트 휴먼으로 나아가는 급진적 진화의 길을 선택할지, 아니면 현재의 생물종으로서의 인간을 보존하는 다른 길을 갈지는 아직 우리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는 문제이다. 과연 이러한 급진적 기술의 개발이나 발전을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방임해 두어도 좋은가? 아니면 국가적이거나 국제적인 공조를 통하여 그러한 기술의 개발이나 적용에 모종의 제동을 걸어야 하는가?

본 강좌는 학생들에게 지금 진행되고 있는 생명과학, 두뇌과학, 인지과학과 같은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 내용이 무엇인지를 교양 수준에서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그것들이 인간성(humanity) 혹은 인간 생명의 이해와 관련하여 어떠한 함축을 갖고 있는지를 이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 그러한 이해의 바탕 하에서, 첨단 과학 기술의 현실 적용에서 파생되는 윤리적 쟁점들을 소개하고, 이들 쟁점들에 대하여 학생들 스스로 반성적 성찰을 통한 자율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다.

 

3. 교재 및 참고문헌

* 아래의 책들 중에서 필요한 내용을 지정하여 읽을 것임. 기타 추가적으로 필요한 읽을거리는 수업 중에 소개할 것이다.

생명의 윤리를 말한다(The Case Against the Perfection), 마이클 샌델, 동녘(2007)

부자의 유전자 가난한 자의 유전자(Our Posthuman Future: Consequences of the Biotechnology Revolution), 프랜시스 후쿠야마, 한국경제신문사(2003)

융합시대의 기술윤리, 이상헌, 생각의 나무(2012)

--------------------------------------------

인문학적 자유 vs 과학적 자유: 의료현장에서 살펴본 과학과 인문학의 소통 불가능한 구조에 대한 탐구, 이승범, , 우물이있는집 (2012)

영화 속의 바이오테크놀로지, 박태현, 생각의 나무(2009)

인간의 미래, 라메즈 남 (남윤호 역), 동아시아 (2007)

특이점이 온다, 레이 커즈와일 (김명남, 장시형 역), 김영사 (2007)

급진적 진화: 과학의 진보가 가져올 인류의 미래, 조엘 가로, 지식의 숲(2007)

포스트휴먼과의 만남, 도미니크 바뱅, 궁리(2007)

인간이라는 자연의 미래, 위르겐 하버마스(장은주 역), 나남출판 (2003)

신경윤리학이란 무엇인가(뇌과학 인간 윤리의 무게를 재다),닐 레비, 바다출판사(2011)

뇌과학 경계를 넘다, 신경인문학 연구회, 바다출판사(2012)

내츄럴-본 사이보그, 앤디 클락, (근간)

도덕 철학의 기초, 제임스 레이첼즈 (노혜련, 김기덕 역), 나눔의집(2006)

 

4. 수업방법 및 활용매체

핵심적인 개념 및 내용에 대한 강의

조별 발표와 토론

영화감상 및 감상문(보고서) 작성

 

5. 성적평가방법 및 기준

출석 및 수업참여도 10%, 조별 발표 30%, 보고서 10%,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20%

출석평가는 감점방식을 취한다. 세 번의 지각은 1번 결석으로 간주한다. 두 번째 결석부터 시간당 1점씩 감점하고 지각은 0.3점씩 감점한다. 일정 회수 이상 결석하면 F를 준다. 특별한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교수에게 사전 허락을 받은 결석은 감점되지 않는다.

수업의 활기와 내실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수업참여도 점수를 별도로 부여한다.

 

6. 강의내용

* 학기 초반부에는 교수의 강의에 의존하지만, 학기의 후반부는 주로 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될 것이다. (강의의 순서와 내용은 강의의 진행에 따라 바뀔 수 있다.)

 

1-3(강의): 강의 소개 및 현대과학기술의 현황

강의의 목표나 진행에 대한 일반적 소개와 더불어, BNIC기술의 발전 현황을 소개하고 그것들이 인간성에 대한 규정이나 인간 생명 가치의 이해에 갖는 함축들을 설명한다.

 

4-6(강의): 윤리적 접근의 기본 입장들

- 칸트(절대적인 규칙), 공리주의, 덕윤리학

일상적 도덕 판단의 배후에 깔려 있는 근본적인 윤리적 원리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소개하고, 각 원리의 장점과 단점들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설명한다. 대표적으로 칸트의 윤리이론, 공리주의, 덕윤리학 등의 입장을 소개한다.

 

7-9(강의): 인간 향상에 대한 윤리적 논쟁: 트랜스휴머니즘 vs 생명 보수주의

과학기술이 초래할 인간의 변형 및 향상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대표적인 입장들을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이 특수 쟁점들에 접근하기위한 준거점을 제공한다.

트랜스휴머니스트는 과학 발전의 성과를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여 개인은 자유롭게 자신의 근본적 변형을 선택할 수 있다고 주장. - Nick Bostrom, Julian Savulescu

생명보수주의자는 인간의 생물학적 조건을 근본적으로 변형시켜서는 안 되며, 인간 본성의 변형에 대한 생의학적인 개입의 금지를 주장. - Jurgen Habermas, Michael Sandel, Francis Fukuyama

 

10-15(발표 및 토론):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들

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되는 여러 개별적 사례들에 대해서 학생들이 조별로 토론함으로써, 강의를 통하여 배운 여러 도덕적 개념과 원칙들을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제들에 대하여 토론을 진행할 수 있다.

 

인간 복제
- Never Let Me Go, 2010 (네버 렛 미 고); The Island, 2005 (아일랜드)

유전자 조작이나 선택을 통한 맞춤 아기의 탄생
- Gattaca, 1997 (가타카); My Sister's Keeper, 2009 (마이 시스터즈 키퍼)

약물을 통한 인지적, 정서적, 도덕적 향상
- Equilibrium, 2002 (이퀼리브리엄); Limitless, 2011 (리미트리스)

(디지털) 프로스테시스와 사이보그 대행자
- Avatar, 2009 (아바타); Surrogates, 2009 (써로게이트)

인간 향상과 스포츠 윤리
전자적 업로딩
- The Matrix, 1999 (매트릭스)

BioArt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

cryonics

- Demolition Man, 1993 (데몰리션 맨)

Posted by deanim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