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시스템을 헤드파이로 가기로 한 결정이 점점 일을 크게 만들어 놓고 있다. 학교에 있던 스피커와 앰프, dac을 모두 처분을 하고 블라데리우스 dac를 하나 들였는데, 내친 김에 집에 있던 스타일오디오의 사파이어와 T2도 중고로 처분을 해버렸다. 그러던 중에 중고시장에 국내의 사운드포럼이라는 회사에서 만든 사라지다 dac가 하나 올라왔다. 어떤 오디오사이트에서 블라데리우스에 별 3개를 주었는데, 별 4개를 받은 그 놈이다. 이름도 오디오 기기는 사라지고 음악만 남는다하여 사라지다 dac이다. 신품 가격은 비싸지만, 중고로 나온 가격이 블라데리우스의 것과 얼추 비슷하다. 헤드폰단도 달려 있고, 아날로그 RCA 출력단이 두 개가 있는데 하나는 진공관을 거치고 다른 하나는 트랜지스트단을 통하여 소리가 나오는 아주 재미있는 dac이다. 하나의 dac로 두 개의 다른 성향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헤드폰단은 기대보다 못미치지만, 아날로그 출력단은 아주 좋은 소리가 난다. 그리고 기대와는 달리 진공관출력단에서 나오는 소리보다 트랜지스터 단에서 나오는 소리가 더 마음에 든다. 스베트라나 앰프는 제작에 한 달이 걸린다 하여, 학교에서는 udac2 se로 헤드파이를 하고 있다. 집에서는 사라지다 dac를 들이고 부터 HP100+MC 15에 물려 음악을 듣는 재미가 상당히 솔솔하다. 지금까지 다인을 제대로 울리지 못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전에 사용하던 dac들과 큰 차이가 있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베트라나2  (1) 2012.04.09
DAC 비청기  (0) 2012.04.08
DA100S + dx-usb 그리고 블라델리우스  (0) 2012.03.25
소리를 찾아서2 (2008.12.20)  (0) 2012.03.25
오디오아날로그 베르디 세탄타 (2008.11.9)  (0) 2012.03.25
Posted by deanima
,
에이프릴 뮤직의 히트작인 DA100S와 솜오디오에서 만든 DDC인 dx-usb 이다. dx-usb 옆에는 외장형 전원인 mps-15va2이다. 여러 dac를 쓰면서 가장 오래 즐겨들은 조합이다. 이놈들과 베르디 앰프, 자비안 스피커를 연구실에 두고 음악을 들었다. 문제는 연구실에서 볼륨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 며칠을 고민하다, 결국 연구실은 HD800 헤드폰과 스베트라나 2 진공관 앰프로 구성된  헤드파이로 가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보니 DAC+DDC 구성이 너무 번잡스럽다. 최근에 비동기식을 지원하는 xmos칩을 사용한 새로운 DAC들이 좋다는 소리를 듣고 블라델리우스를 하나 구입했다. 그냥 막대기 하나. 별도의 ddc가 필요없고, 전원도 별도 연결할 필요가 없다. 그냥 usb의 신호를 받아서 아날로그 RCA 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만 한다. 여기에 스베트라나2와 HD800을 물리면 된다. 위의 세덩어리가 하던 역할을 이 막대기 하나가 담당한다. 소리는? 글쎄 아직 에잉징이 안된 것인지, DA100S 시스템에 뇌의징이 된 탓인지, 그렇게 더 좋아졌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그런데 스베트라나2는 주문제작으로 한 달이 걸린단다. ㅠㅠ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C 비청기  (0) 2012.04.08
사라지다 dac  (0) 2012.04.07
소리를 찾아서2 (2008.12.20)  (0) 2012.03.25
오디오아날로그 베르디 세탄타 (2008.11.9)  (0) 2012.03.25
CARAT RUBY (2008.10.28)  (0) 2012.03.25
Posted by deanima
,

자비안 xn125 evo라는 스피커를 와싸다 중고장터에서 구입했다. 체코에서 생산되는 스피커라고 하는데, 트위터를 실크돔으로 써서 그런지,  현이나 보칼 소리가 그럴듯하게 나온다.

내친 김에 중고로 나온 스피커 케이블도 한 세트 구입했다. 반덴헐이라는 회사의 매그넘이라는 케이블이다. 원래는 CS-122나 코드의 실버스크린 등을 고려하고 있었는데, 그보다 상급인 매그넘이 중고로 나오는 바람에 구입을 해버렸다.

이 모든 일이 패리도트라는 DAC를 들이면서부터 시작되었는데, 배보다 배꼽이 엄청나게 큰 결과가 되고 말았다. DAC는 패리도트가 아니라 루비로 왔다. 현재 시스템에서 하나 더 손대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DAC이다. 동일한 소스를 소니의 DVD/CD 플레이어로 듣는 것과, 루비로 듣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 아마도 DAC 성능의 차이일 것이다. 소니 DVP-S7700 은 처음 나왔을 때에는 레퍼런스급으로 상당히 인기를 끈 놈이다. CD신호 픽업이 따로 있고, 96khz/24bit 업샘플링 기능이 있다.

국내의 에이프릴뮤직에서 만든 da100signature 라는 DAC가 있는데, 상당히 평이 좋다. 그러나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당장은 힘들고, 중고가가 떨어지면 그 때 하나 입양할 생각이다.

지금 현재의 시스템 구성이다.
스피커: Xavian xn125 Evo
앰프: Audio Analogue Verdi Settanta 인티앰프
CD Player: Sony DVP S-7700
USB Dac: Styleaudio Carat-Ruby
USB Cable: 벨킨 PureAV 실버시리즈 인터커넥터 AV52200-06 
인터케이블: WBT 0108 (조임식컨넥터)+WBT 2016 (선재)
스피커케이블: PABIAN VAN DEN HUL 반덴헐 MAGNUM
앰프 파워케이블: 트리니티 mk2 파워케이블 팔라듐 도금 단자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라지다 dac  (0) 2012.04.07
DA100S + dx-usb 그리고 블라델리우스  (0) 2012.03.25
오디오아날로그 베르디 세탄타 (2008.11.9)  (0) 2012.03.25
CARAT RUBY (2008.10.28)  (0) 2012.03.25
소리를 찾아서 (2008.10.26)  (0) 2012.03.25
Posted by deanim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