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루비를 구입하였습니다.
HD1에서 페리도트를 거쳐서 루비까지 왔네요.
저녁이어서, 스피커로 나오는 음악은 페리도트와 간단히 비교 청음만 하고, 지금은 2시간째 그라도 RS1에 물려서 듣고 있습니다. 

아직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느낀 바를 간단히 적어봅니다.
마란츠7001+모니터오디오RS1의 조합에서, 루비를 물리니 페리도트와 비교할 때 일단은 날카롭게 쏘는 소리가 줄어들고 약간은 부드럽게 들립니다. 조금 부드러워진 것이어서, 청명함의 정도는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약간의 변화에 따라, 소리의 피곤함이 거의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미묘하지만 놀라운 변화네요. RS1의 진가를 잘 살려주는 느낌입니다. 악기소리의 분리도 약간 나은 것 같습니다. 루비를 구입한 이유가 위의 앰프+스피커 조합에서 날카롭게 쏘는 소리를 잡아보자는 것이었는데, 일단은 성공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내일 낮에 볼륨을 올려서 다시 확인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마란츠를 중고 장터에 내 놓았는데, 아마도 방출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루비와 그라도 RS1의 조합은 아주 좋습니다. 그런데, 루비의 헤드폰 단자보다 마란츠 앰프의 헤드폰 단자에 물리니 훨씬 좋은 소리가 나는군요.^^ 음색도 조금 더 따뜻하고 음의 분리도 나은 것 같습니다. 지금 화양연화 OST첼로곡과  미샤 마이스키와 자클린 드 프레의 첼로곡을 몇 곡 듣고 있는데, 정말 감동이 밀려옵니다. 과거 HD1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던 악기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면 조금 과장인가요? 몇달 전에, 그라도를 거실에 있는 데논 3801AV 앰프의 헤드폰 단자에  물리고 굴드의 바하 골드버그 협주곡을  처음 들어보았을 때, 느꼈던 것과 비슷한 감동이 마구 몰려옵니다.ㅎㅎ

그라도로 들으니 악기음의 분리가 너무 잘되어서 생기는 문제도 있군요.^^ 이은미의 애인있어요를 듣는데, 그라도로 들을 때에는 기타와 같은 반주 음이 너무 잘 분리되어 이은미의 목소리가 묻혀서 들립니다. 

에이징에 따라 루비의 소리가 또 어떻게 변할 지 기대됩니다.

 





Posted by deanima
,

패리도트+모니터오디오 RS1과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인티앰프를 하나 질렀다캠브리지 540A V.2를 살려고 했는데 재고가 없어서, 캠브리지의 640A V.2와 마란츠의 7100 사이에서 고민하다,결국 마란츠를 선택했다.




  결과는,,,, 그렇게 만족스럽지 않다. 마란츠의 음색이 중립적이라고 들었는데, 메인으로 사용할 모니터 오디오의 RS1이 모니터적인 음색이 강하다 보니, 약간 날카로운 느낌이다. 락이나 메탈류의 음악, 여성 보컬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좋아할 음색같다. 실제로 640A로 갔을 경우 어떨지 모르지만많은 사람들이 640A의 소리가 편안하고 부드럽다고 하니그게 내 취향의 소리가 아니었을까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7001을 40만에 샀는데일단 35만 가격으로 중고장터에 바로 내 놓았다.)


캠브리지 S30과 모니터오디오 RS1 




거실의 서라운드로 쓰려고 산 캠브리지의 S30을 마란츠에 물려보았다마란츠 앰프와 캠브리지S30의 궁합은 잘 맞는 것 같다페리도트+마란츠+S30 의 조합은 인켈의 리시버에 물렸을 때보다저음이 훨씬 정리되면서 상당히 좋은 소리를 들려준다. (사진에서는 스피커가 약간 안쪽으로 향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둘다 모두 정면을 향하도록 위치를 살짝 바꿔 보았다.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를 듣는데 음장감이 확 살아 나면서 정말 생동감있게 들린다.) S30은 고음이 조금 약하고 중저음 위주의 소리가 나는 스피커 같은데, 패리도트의 힘과 해상도가 약한 고역을 보강해 주어서, 패리도트+마란츠+S30 은 상당히 좋은 조합이다.
 

HD1+마란츠+RS1의 조합도 편안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들려주면서 나름 좋다하지만페리도트에서 느낄 수 있던 힘이나 해상도가 약간 떨어지는 느낌이다. (HD1이 집과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두 개가 있었는데, 모두 처분하였음.)

 

RS1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고자 한다면, 마란츠를 방출해야 할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차라리 RS1을 방출하고 마란츠+S30의 조합으로 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당분간마란츠가 방출되기 전까지 앰프의 스피커 단자 A, B에 RS1과 S30을 함께 물려놓고, 음악에 따라서 페리도트+마란츠+S30 와 페리도트+마란츠+RS1 조합을 바꿔가면서 들어볼 생각이다. 에이징에 따라 소리가 어떻게 변할 지도 관건이다.

 

마지막 옵션 한가지는 패리도트 대신에 루비를 물리는 방법이다. 루비+마란츠+RS1의 조합이 마음에 든다면굳이 마란츠를 방출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그라도 RS1과의 훨씬 좋은 조합도 기대할 수 있는 부수효과도 있다.(결국 루비를 질렀다. 내일 루비가 도착하면, 또 어떤 소리가 날지 기대가 크다.)

 

p.s. 곧, 루비+마란츠+RS1 과 루비+마란츠+S30의 비교 청음기도 올리겠습니다.



Posted by deanima
,
지금까지 HD1에 보스 스피커를 물려서 사용하고 있었다. 페리도트를 구입하자 또 다른 욕심이 생겨서, 거실의 홈시어터 리어 스피커로 물려 놓은 Monitor Audio RS1 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아무래도 이 스피커가 리어로 쓰기엔 너무 아까운 놈이다. SACD를 들으려고 구입한 놈인데, SACD가 생각보다 좋지는 않아서 거의 들을 기회가 없다. 영화볼 때 간간히 쓰기는 하지만, 이 놈 입장에서는 억울할 정도로 활용을 못하고 있었다. 음악은 아직 스테레오로 들어야 제 맛이다.  

RS1을 페리도트에 물리기 위해서는 앰프가 필요한데, 10년전에 쓰다가 지금은 처박아 둔 인켈의 RV-5030R 이라는 프로로직 리시버가 생각이 났다. 페리도트에 이 앰프를 물리고, RS1을 물리자 보스 스피커와는 한 차원 다른 소리를 들려준다. 몇년 동안 사용하지 않은 앰프이고, 그렇게 좋은 앰프는 아니라 약간의 의구심이 있었지만, 이제야말로 제대로 된 pc-fi를 하기 시작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여기에 괜찮은 인티앰프 하나 물리면 또 어떤 소리가 날까?^^ 

비교를 위하여 HD1과 페리도트를 번갈아 물려 보았는데, 역시 페리도트가 발군의 소리를 들려준다. HD1도 나쁘지는 않지만, 페리도트를 물리니 소리가 쭉쭉 뻗어나오고 훨씬 잘 분리되어 들린다. 그야말로 페리도트 만세이다. 

루비는 어떤 소리가 날까 슬슬 궁금해지기 시작한다. 또 지름신과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거실의 리어를 비어둘 수는 없어서 염가의 스피커를 검색하다가, 캠브리지 오디오의 S30을 15만원에 주문을 했다. 어차피 영화볼 때 리어로 쓰기 위한 것이라, 가격 대비 스피커에 대한 평이 워낙 좋아서 청음도 해보지 않고 질렀다. 

문제는 이제 헤드폰이다. 그라도 RS1과 페리도트의 매칭은 그렇게 좋지 않은 것 같다. (음, 헤드폰과 스피커의 이름이 공교롭게도 둘 다 RS1이군.^^) 그런데 지금 모니터 오디오 RS1에서 나오는 소리가 너무 좋아, 당분간 헤드폰보다는 스피커로 음악을 듣게 될 것 같다. 그라도의 경우에도 한 20시간 지나니, 귀가 적응이 된 것인지, 에이징 효과인지, 날카로움이 약간 없어지는 것 같기도 하다. 당분간 더 들어보고, 루비로 가거나 적당한 헤드폰을 알아보아야겠다. (10/22)

 


Posted by deanima
,


오늘 HD1에서 페리도트로 업글을 했다.
일단 외부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는 대만족이다.

BOSE의 Freestyle이란 스피커를 사용하는데, 새털라이트 2개와 앰프를 내장한 서버우퍼 하나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몇 년 전에 xbox와 함께 사용하려고 구입했는데, 거의 사용을 않다가, HD1덕분에 PC용 스피커로 변신하여 엄청 잘 활용하고 있었다. 지금은 단종이 된 모델인데, 요즘 Bose CineMate Speaker System 으로 팔리는 놈과 같은 모델로 추정된다. 리모컨을 제외하면, 모양이나 제품설명, 가격이 동일하다. 
페리도트로 바꾸고 나니, 일단 소리가 힘있게 나오고 해상도가 높아졌다.

그런데 외부스피커로 나오는 소리와 헤드폰으로 나오는 소리가 조금 다르게 느껴진다. 헤드폰은 그라도 RS-1을 사용하고 있는데, 소리가 너무 날카롭게 들려서 귀가 쉽게 피곤해진다. 저녁 내내 HD1과 페리도트를 번갈아 끼워가며 여러가지 음악을 들어보았는데, HD1은 힘은 딸리는 것 같지만 부드러운 소리가 나오고, 페리도트는 강하지만 날카로운 소리가 난다. 그러다 보니, 헤드폰으로는 음악을 오래 들을 수가 없다. 에이징이 덜 된 탓일까, 아니면 그라도와 궁합이 안맞아서 일까? (10/21)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를 찾아서 (2008.10.26)  (0) 2012.03.25
페리도트를 이용한 오디오 재활용 (2008/10/22)  (0) 2012.03.09
Grado RS-1 + HD1 (2008/2/18)  (0) 2012.03.09
첫번째 dac - 스타일오디오-HD1 (2008/2/4)  (0) 2012.03.09
DAC  (0) 2012.03.09
Posted by deanima
,



학교에서는 아무래도 방음 문제 때문에 음악을 듣기가 곤란하다. 연구실에서 PC-Fi를 하려면 아무래도 헤드폰이 필요할 것 같다. 그런데 쓸만한 헤드폰의 가격들이 만만찮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던 중, 문득 아버지가 생전에 헤드폰도 사용했었다는 기억이 났다. 설날에 고향에 가자마자 아버지가 사용하던 헤드폰을 찾아보았다. 아니나 다를까 나무박스에 고이 모션둔 헤드폰 하나가 나온다. 상자를 열어보니 그라도의 RS-1이라는 놈이다. 지금도 가격이 80만원 가까이 되는 레퍼런스급 헤드폰이다. 역시 아버지다운 선택이다. 그런데 오래 사용하지 않고 방치되어 있다보니, 스펀지로 된 이어패드가 모두 삭아버렸다. 일단 스펀지를 전부 걷어내고, 아쉬운대로 Q1U에 물려서 음악을 들어본다. 컴퓨터에서 그냥 나오는 소리인데도, 예사롭지가 않다. HD-1에 물려보면 어떤 소리가 날까? 설이 지나고 파주로 돌아오자마자, 용산으로 직접 가서 이어패드를 사 끼운 다음, HD-1에 물렸다. 기대보다는 조금 못하지만, 역시 멋진 소리가 나온다. 설 지나고 배송되어 온 젠하이져의 PX-100을 끼고 비교를 해 보았다. 당연히 비교의 대상이 아니다. 젠하이져는 아직 에이징이 안되어서 그런지 몰라도 저음만 벙벙거리고 제대로 된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PX-100과 RS-1을 비교한 것이 너무 심했다는 생각도 든다. 이제 HD-1을 하나 더 사서 연구실 컴퓨터에 물리고, 학교에서는 이 놈으로 음악을 들으면 되겠다. 말하자면 아버지의 유품이다. 2년전에 돌아가신 아버지의 생전 모습을 생각해 본다. 돌아가신 아버지 덕분에 이제 내 귀가 호강
을 하게 생겼다.


Posted by deanima
,



요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은 PC 앞이다. 거실에 나름대로 괜찮은 오디오가 있지만, 음악을 듣기 위하여 거실에 멍하니 앉아 있기는 쉽지 않다. 그러다 보니 음악을 들을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유일하게 음악을 듣는 시간은 자동차 안이다. 그나마도 mbc 라디오에 고정을 하다보니, 음악보다는 라디오에서 전하는 사연만 듣게 된다.

 

인터넷을 서핑하던 중에 우연히 HD-1이라는 오디오 DAC가 눈에 띤다. 가격은 10만원 정도(지금은 8만원대 중간)인데, 사용해 본 사람들의 반응이 무척이나 좋다. PC에서 사용하는 MP3파일이나 무손실 압축 파일인 Flac나 Ape파일은 모두 디지털 파일이므로,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아날로그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보통 사운드카드 (요즘은 메인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칩셋)가 그 역할을 하는데, 이 놈은 usb에 물려서 사용하는 외장형 사운드카드 같은 것이다. 이 놈을 잘 활용하면, pc를 이용한 음악 감상이 가능할 것도 같아서, 당장에 주문했다. 담배값보다 약간 큰 상자모양으로, 뒷면에는 RCA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고, 앞에는 5.5 파이의 헤드폰 단자가 있다.

 

HD-1에 그 동안 애들 게임기에 물려 놓았던 Bose의 Freestyle이라는 스피커를 물렸다. 보스가 Xbox와 함께 팔기 위해서 내 놓았던 게임용 스피커이다. 지금 보니 2002년에 tax 보태서 541불을 주고 산 놈이다. pc 스피커로 그렇게 싼 놈이라고 할 수는 없다. 새털라이트 두개와 앰프가 내장된 베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미국서 산 관계로 100v 용이라 강압기를 물리고, PC와 HD-1을 모두 연결했다.

 

결과는 대 성공. 제대로 된 하이파이에는 못미치지만, 컴퓨터에서 mp3로 듣는 음악으로는 거의 수준급 소리가 나온다. 돈10만원 투자하고, 집에 놀고 있던 스피커를 사용하여, 이런 소리를 낼 수 있다니. 오디오 파트를 업그레이드 하고 나니, 한 가지 문제는 소스파일이다. 192k로 된 mp3부터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옛날에 받아 두었던 128K MP3파일은 도저히 들을 수가 없다. 그리고 192k 이상의 파일도 추출이 잘못된 파일은 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하지만 요즘은 무손실 압축 파일들이 많아서, 소스 자체를 확보하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요즈음 오랫만에 음악에 푹 빠져 산다. 특히 왁스라는 여자 가수의 베스트 앨범 2번째 cd가 무척이나 좋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번째 dac - 스타일오디오-패리도트 (2008/10/21)  (0) 2012.03.09
Grado RS-1 + HD1 (2008/2/18)  (0) 2012.03.09
DAC  (0) 2012.03.09
T5P와 T1, HD800  (3) 2012.03.08
t5p헤드폰과 udac2 se dac  (0) 2012.03.06
Posted by deanima
,

DAC

디지털 라이프 2012. 3. 9. 08:13
DAC는 digital to analog converter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cd 플레이어에는 이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cd에 쓰인 디지털 신호를 읽어내어 그것을 아날로그로 변화하여 앰프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cd player이다. 그런데 몇년 전부터 컴퓨터에 있는 음원파일을 이용하여 수준 높은 소리를 들으려는 시도가 생겨나면서, 소위 pc-fi라는 것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다. 음악의 소스로 PC를 이용하려는 것인데, 그러자면 pc에 있는 파일을 디지털 신호를 읽어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사운드카드나 사운드 칩셋이 그런 역할을 하는 dac 파트이다. 그런데 좋은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내장된 사운드 카드의 성능이 부실하기 때문에, 컴퓨터에서는 디지털 신호만을 읽고 이를 독립적으로 아날로그로 변환해주는 외장 dac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pc-fi 시대가 도래했다. 컴퓨터 연결하는 방식은 usb, 동축, 광연결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이제는 usb 연결이 가장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자리잡은 것 같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오디오 부분에서 가장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이 dac이며, 그런 새로운 dac들 덕분에 과거에는 엄청난 가격의 cd player에서나 들을 수 있었던 소리를 지금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의 성능이 높아지고 저장매체의 용량이 비약적으로 커진 덕분에, 첨단의 좋은 dac를 이용하면 cd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음원 파일들을 즐길 수 있다.

그동안 사용해 본 dac들을 정리해보니, 꽤 많은 수의 물건들을 사용했다. 이제는 가격대나 성능이 한 칸 위인 물건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넘사벽이었던 가격이, 기술 발달에 따라 그나마 접근 가능한 가격대가 된 덕분이리라. 당분간은 dac질로 시간을 보낼 것 같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do RS-1 + HD1 (2008/2/18)  (0) 2012.03.09
첫번째 dac - 스타일오디오-HD1 (2008/2/4)  (0) 2012.03.09
T5P와 T1, HD800  (3) 2012.03.08
t5p헤드폰과 udac2 se dac  (0) 2012.03.06
루비  (0) 2010.10.27
Posted by deanima
,
T5P에 도저히 정을 붙일 수 없어서, 심한 손해를 보고 내쳤다. T1을 살 요량으로 이어폰삽으로 가서 몇가지 청음을 해 보았다. 역시 T5P보다는 T1이 내 취향에 더 맞다. 내친 김에 AKG의 K701, 젠하이저의 HD600까지 들어본다. 예상외로 HD600은 별로이고, K701이 시원한 소리를 내어준다. 600은 저음이 부담스러운 것 같고, K701은 맑은 중고음과 공간감감이 좋지만 저음은 조금 부족하다. 그런데 옆에 따로 독립된 칸을 만들어서 HD800 이 있다. 뭔가 모르지만 시원한 소리가 나며 공간감이 어마어마하다. 인터넷에서 본 평이 과장이 아니다. 소스가 아이폰이었기에여 정확한 실력은 가늠할 수 없지만, T1에 비해 더 풍부한 소리를 내어주는 것 같고, HD600에 비해 훨씬 듣기 좋은 저음을 들려준다. 해상도나 명료함은 T1이 앞서는 것 같지만, 음악을 편하게 듣기에는 HD800이 나아보인다. 허걱. 그런데 가격이 T1보다 HD800이 40만원이 비싸다. 왠지 T1을 지르면 HD800 이 계속 생각날 것 같아서, 결국 구매를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집으로 와서 인터넷을 검색하니, 내가 T5P를 판 가격대에  HD800 매물이 올라와 있다. 외관에 약간 기스가 나서 B급이지만 소리는 이상없단다. 저녁 시간에 1시간을 달려가서 그 놈을 가져왔다. 집에 있는 HP100앰프에 물리니 처음에는 소리가 약간 허전하게 들린다. 게인을 올리니 그때서야 비로소 제대로 된 소리가 난다. 한 밤중에 음악을 세 시간 내리 들었지만, 귀가 그렇게 피곤하지 않다. 외관은 조금 상처가 있지만 사용하다 보면 크게 문제가 될 것이 없다. 이것을 전화위복이라 해야 하나. HD800의 성향이 내가 찾던 바로 그것이다. 정말 대단한 헤드폰이다. 학교로 와서 udac2se에 물려, 그라도와 HD800의 비청을 해본다. 그라도도 워낙 실력이 있는 놈이라 만만치 않지만, 소리의 깊이에서 HD800이 앞서고 덜 피곤한 소리를 내어준다.

이제는 이 놈을 제대로 구동하기 위해 소스부를 보강해야 하나? 지금 쓰는 구성은 스타일오디오의 사파이어+T2+HP100 조합이나 udac2se 단독으로 쓰는 것이다. 어차피 학교에 있는 오디오를 정리하기로 맘 먹었으니, 그 놈들을 처분하여 스베트라나2 앰프와 블라델리우스/린데만 dac으로 가 볼 생각이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번째 dac - 스타일오디오-HD1 (2008/2/4)  (0) 2012.03.09
DAC  (0) 2012.03.09
t5p헤드폰과 udac2 se dac  (0) 2012.03.06
루비  (0) 2010.10.27
아이폰  (0) 2009.12.09
Posted by deanima
,

일전에 과외로 생긴 목돈이 있어 베이어 다이내믹스 t5p헤드폰을 구입하였다. 교보 첨음 매장에서 들은 t1의 소리를 잊지 못하고 있다가, 그 동생 뻘로 나온 t5p를 지른 것이다. t1보다 가격이 조금 싸게 형성되어 있고, 아이폰과 같은 소형기기에 직결이 가능하다는 것이 매력이었다. 전철타고 다니면서 쓸 요량으로 구입했지만 그러기에는 사이즈가 너무 커서 결국 연구실에 거치해 놓고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대했던 것보다  이 놈의 소리가 마음에 쏙 들지는 않는다. 처음에 집에서 사용하던 grado rs1과 비청을 해보고 소리가 너무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 깜짝 놀랐다.

일단 udac2hp라는 소형 dac 를 연결하여 들어보았지만 크게 개선이 되지 않는다. 인터넷에서 udac2에 대한 평이 좋아 샀는데 그렇게 좋은 줄을 모르겠다. 인터넷을 뒤지니 스베트라나2라는 프리 겸용 진공관 헤드폰 앰프에 대한 소문이 자자하다. 이 놈을 들여야만 문제가 해결될까? 그런데 이 놈의 가격이 130만원이다. 허걱.

그러던 차에 udac2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나왔고, 성능이 udac2와는 한 차원 다른 소리를 들려준단다. 내친 김에 숙제하는 기분으로 집에 묵혀두었던 루비dac과 집에서 든는 Grado RS1을 학교로 가지고 와서 본격적인 비청을 했다. 그 사이 t5p도 어느 정도 에이징이 되었는지, grado와 비교해 들어도 소리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가격으로 보면 t5p가 더 나아야 하지만.) 소리는 t5p가 훨씬 더 단단하고 정갈하지만, 밀페형이어서 그런지 공간감이 떨어진다. 그래서인지 아직은 음악을  편하게 듣기에는  그라도가  더 좋다. t5p는 소리는 좋지만 왠지 긴장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발견 하나. 그간 별로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udac2의 해드폰단이 루비의 헤드폰단보다는 한 수 위이다. 루비는 뭔가 채색된 소리처럼 들리고 소란스러운데 비하여, udac2의  소리가 훨씬 명료하고 차분하다. udac2+t5p만 들었을 때에는 그런 생각을 전혀 해보지 못했는데. 갑자기 udac2se를 들어보고 싶은 욕구가 용솟음친다. 33만원에 공동구매하는 사이트에서 거의 클릭 직전까지 갔다가, 네이버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26만원짜리 물건이 하나 나와 있음을 발견했다. 비오는 날 오후 전철을  타고 시청역으로 가서 그 놈을 물어왔다.

떨리는 마음으로 집으로 돌아와 드디어 비청. 처음 터져 나오는 소리를 듣고 깜짝 놀랐다. udac2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좋은 소리가 난다. '심봤다.' 마우스보다 더 작은 놈에게서 저런 소리가 나오다니. 시간 가는줄 모르고  늦은 저녁 내내 음악을 들었다. 스베트라나2의 유혹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당분간 udac2se만으로도 한동안은 버틸 수 있겠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C  (0) 2012.03.09
T5P와 T1, HD800  (3) 2012.03.08
루비  (0) 2010.10.27
아이폰  (0) 2009.12.09
iphone  (0) 2009.12.08
Posted by deanima
,

루비

디지털 라이프 2010. 10. 27. 07:39
루비 dac 이다. pc-fi를 처음 시작하면서 스타일 오디오 사의 제품을 두루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hd1에서 시작하여 패리도트로 왔는데, 소리가 약간 쏜다는 느낌때문에 곧장 루비를 질렀다. 상당히 만족하면서 1년 이상을 사용했다. 중간에 da100s로 업글했지만, 루비는 세컨드 시스템의 일원으로 굳건히 자리를 지켰다. 결국 사파이어와 Tii라는 출중한 아들 딸 때문에 방출되기는 하지만, 가격대비 성능면에서는 여전히 최고라고 생각된다. 방출되기 전에 사파이어 Tii와 함께 기념사진 한 컷!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디지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C  (0) 2012.03.09
T5P와 T1, HD800  (3) 2012.03.08
t5p헤드폰과 udac2 se dac  (0) 2012.03.06
아이폰  (0) 2009.12.09
iphone  (0) 2009.12.08
Posted by deanima
,